살아가는 이야기

故 김상택 화백님의 초재(初齋)

뉴도미닉 2009. 10. 23. 16:29

 

                                故 김상택 화백님의 초재()  

                                       

 

                                                               

                                 초재에 참석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화백님의 삶은 영정에 놓은 사진하나 없었다는 것으로 ...대변할 수 있을 듯합니다.

                                         그래서 젊은 시절 직접그린 초상화(자화상)로 대신했구요..2번째 사진 참고

 

                                         그의 붓은 칼날처럼 날카로왔으나

                                         그의 성품은 너무나 겸손하고 온화하여 가까이서 단 한번이라도 뵈었다면

                                         오래도록 그를 기억할 것입니다.

 

                                                                                                                                            


                                                                                                              

 

 

 

 

                     

   

                          故 김상택 화백님의 4재()

 

 

                                 시어머니의 예상치 않았던 이른 귀향으로

                                        갑자기 주말이 한가해져 버린 나...

 

                                        봉정사행을 결심하고

                                        툐욜 오전 보따리를 꾸려 분당 오리역으로...

 

                                        각현 보살님과 그녀의 시동생 셋이서 가을이 익어가던 날 안동으로 떠났다.

                                        일요일은 故 김상택 화백님의 4번째 재(齋)..

                                        가는 내내~ 우리의 화제는 삶과 죽음이었다.

 

                                        그리고 우리도  김화백님처럼 잘 떠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도 가져 보고..

 


                                        보살님 주위의 여러 사람들의 사생활도 엿듣게 되었고

                                        참으로 삶이란 것은  만만치도 않고 녹록한 것도 아니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봉정사에 도착하니 이젠 고향에 온 듯 푸근한 마음이 드는 것은 왜 일까?

 

                                        자형(慈玄)스님께 귀한 차를 한잔 얻어 마시고

                                        관심당에 가방을 내려 놓으니

                                        벌써 공양시간을 알리는  목탁 소리...

                                        메뉴는 뽕잎 수제비..공양주 보살님의 솜씨는 역시~

 

                                        설겆이 마치고 저녁예불.

 

                                        각현님이 온천하러 가잔다~

                                        세면도구를 주섬주섬 챙겨 가까이 있는 학가산 온천으로..

 

                                        규모도 크고 깨끗하고 수질 또한 환상이다.

 

                                        노천탕에 누우니  차가운 밤공기가 알싸하니 좋다.

 

                                        9시에 취침이니 부지런히 때도 밀고 깜깜한 어둠을 뚫고 다시 봉정사로..

 

                                        난 피곤에다 온천까지 했으니 죽은 듯 잤다. 역시나 각현님은 또 고생을 하셨고~ 

 

                                                                                                             

  

 

 

                                 새벽 예불을 마치고  보살님과 목도리를 두르고 봉정사 입구까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걸었다.

 

                                 다시 지조암까지 가보자고 해서 그쪽으로..

                                 달은 반쪽이었지만 별은 쏟아졌다..

 

                                 네팔에서의 밤이 생각났고 그 시간들이 가슴 한쪽이 따가와 오면서 그리웠다..잠깐..

                                 지조암에 거의 다 왔을 즈음 산짐승 한마리가 휙~ 우리 앞을 지나간다.

                                 순간 놀랐고 무서워 더 걸음을 옮길 수 없다.

 

                                 다시 아래로...

 

                                 방에 돌아오니 이불은 그대로 ..누워서 살짝 잠을 청한다.

 

                                 아침 공양을 알리는 소리..

 

                                 어제 저녁 공양시간에 ..

                                 뒷산에서 딴 송이를 보여 주시던 공양주 보살님..

                                 송이를 듬뿍 찢어 넣고 끓인 자연 송이 죽~

 

                                 향긋한 송이 내음이 입안 가득 퍼진다.

 

                                 공양후에 큰 소쿠리 가득한 야채를 다듬고 씻고..

                                 자현스님께서는 선채로 깍아 놓은 감을 실에다 꿰시는 작업에 몰두하시고~

                                 공양주 보살님은 고소한 냄새를 풍기며 씻어 드린 야채로 음식장만에 바쁘시다.

                                 이 모든 공간과 냄새가 낯설지가 않고 고향 마당에 있는 기분이다.신기하고 신기하여라~ 


 

 

 

 

                                         해가 뜬지 얼마 안되는 시간이라 아침의 기운이 느껴진다..

 

 

 

 

 

                                         고개를 떨구어 버린 해바라기.. 

                                         9월의 그것과 너무 대조적이다.

 

                                         여기서 난 세월의 무게와 늙음을 보았다.


 

  

                                   

 

 

                                         각현 보살님이 애써 심었던 금잔화''

                                         다행히 건강하게 뿌리를 내렸나 보다...

 

 

 

 

 

                                         아침의 기운이 느껴지는 ..봉..정..사..
 

 

 

 

 

                                          주렁주렁 달렸던  감들이 이젠 옷을 벗어 던지고 햇살아래로~~


 

 

 

                                         영단에 올려질 음식..

 

 

 

 

 

                                         찌짐 짜투리..

                                         배추전, 고수전, 갓전.

                                         솜씨도 좋으시지...

 

 

                                         무사히 4재를 마치고..(3명이서 단출하게.. 등운스님 오셨다)

                                         예천 집짓는 곳에 등운스님과 동행.

 

                                         한맥 c.c에서 차 한잔 마시고 등운스님은 대구 삼보사로..우린 서울로..

                                         행락객이 많아 고속도로 정체가 심했고

                                         각현 보살님 운전 하느라 힘드셨다.

 

                                         기어이 대치동까지 데려다 주고 가셨다~

 

                                                                                              

                                     

  

                                      故 김 상택 화백 약력 

 

                                     


                                          

 

  

 

                                       

                                      각현 보살님의 인사 편지

 

  

                                      고인 김상택화백의 미망인입니다. 

                                      어제 저녁 삼우제와 초재를 마치고 안동 봉정사에서 올라 왔습니다.

 

                                      상가까지 직접 오셔서 조문해주신데 대해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또 인편이나 조전, 조화를 보내주신 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부고를 보내지 않았음에도

                                      신문이나 방송을 보고 찾아와 주신 많은 분들께도 고마움을 표합니다.

   

                                      고인은 늘 조용히 가기를 원했습니다. 장례의식도 최대한 폐를 끼치지 않은 범위에서 조촐히 하기를

                                      바랐습니다. 이런 말은 고인이 아파서가 아니라, 늘 뉴스로 그런 상황이 있을 때 끔찍하게도 싫어했습니다.

                                      장례가 살아있는 많은 분들에게 불편하게 한다면 고인에게도 도움이 안 될 거라고 했습니다.

 

                                      그가 늘 화두로 삼고 살았던 것이 잘 사는 것이 잘 죽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생과 사가 둘이 아님을 보여주고 가신 분께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과연 그렇게 갈 수 있을까? 했던 의구심이 사라지고 어떻게 살아야 되는지 확신을 주고 가셨기에

                                      장례기간 내내 슬픔보다는 기쁨이 컸습니다.

                                      생소한 장례분위기에 이해가 되지 않은 분들도 계셨을 겁니다.

                                      우리는 함께 그렇게 보내주기로 약속했습니다.

                                      의식이 있는 상태로 염불을 하면서 편안히 가는 방법은

                                      살아 있을 때 열심히 수행하는 것 밖에 없다고 하면서 누구든 먼저 가면 8시간 염불을 해주기로 했습니다.

                                      다행히 병원 측의 배려로 운명 후 곧장 안치실로 가지 않고 염불을 할 수 있었고 서로의 약속을 지켰습니다.

 

                                                                            ~ 중략 ~ 

 

                                      고인은 또 유골은 화장 한 후 산골을 하라고 했습니다.

 

                                      현재 49재 중 입니다.

 

                                      고인은 시골에 가서 살고 싶어 했습니다.

                                      거기서 진짜 그림을 그리고 싶어 했었고, 참선을 하고 싶어 했습니다.

                                      지금 그가 내려가서 살 집을 짓고 있습니다. 아직 완성되지 못했지만

                                      고인 대신에 여러분들이 오셔서 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조촐한 게스트 룸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솜씨가 없어서 맛있는 음식은 기대 할 수 없을 겁니다. 굶기지는 않겠습니다. 

 

                                      고인의 만평으로 상처를 받은 분들도 계셨을 겁니다.

                                      제가 대신 사과드립니다.

 

                                                                            ~ 중략 ~ 

 

                                      조문해주신 모든 분들을 일일이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는 것이 도리인 줄 아오나, 이렇게 감사 편지로 대신

                                      고마움을 전합니다.

                                

                                      연락이 끊긴 지인들이 지상이나 뉴스를 보고 오셔서 어떻게 고마움을 표해야 할지 난감 합니다. 

 

 

                                      2009년 9월 21일

 

                                      -고 김상택 화백 미망인 강혜경, 아들 승철 올림-

                                      

                                                                         

                                                   

                                                                          

                                           

  

                                      후기(後記)

 

                                       윗 글과 사진은 금강선원의 불자이신 부용님이 보내주신 김 화백님 초재와 4재에 다녀오신

                                       내용입니다.

                                 

                                       미망인이신 각현 보살님의 인사 편지와 같이 돔에 올려 종교를 떠나 한 인간의 삶과 죽음을

                                       조명해보는 계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김 화백 님 부부는 금강선원 불자이심).                  

                                                                      

                                       도미닉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