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시기리아락과 알루비하라< 스리랑카 여행 8일째 날 >

뉴도미닉 2009. 12. 9. 22:30

 

              시기리아락과 알루비하라 관광 

 

 

              시기리아락(Sigiriya Rock)과 알루비하라 관광  

                                                    

                  그 해 질 무렵...부처님을 향한 애틋한 마음을 안고 

                  (각 자의 마음속에는 각기 나름의 상념이 있었으리라..)

 

                  호텔로 돌아 왔다. 

 

 

 

 

                  어제는 이러 했던 침실이...


 

 

 

                  오늘은 이렇게...자그만 정성이 감사했다.

 

                  습하고 더운 날씨는 계속이다..

                  에어컨을 돌리면 소음도 싫고,냉기도 싫고..그냥 있자니 덥고,습하고...그래도  후자를 선택!
 

 

 

 

                  오늘은 스리랑카의 최대 볼거리 시기리아 락을 찾아 나서는 날~

 

                  스리랑카를 와서 시기리아 락을 보지 않는다면 스리랑카를 왔다고 할 수 없다 하니 기대도 크다..

 

                  무슨 얘기를 나누시길래 모두 입가에 웃음이 번지신 걸까?

 

                  여행..

                  자고 일어 나면 또 다른 새로운 날이 있다.

                  미지의 세계...그것에 대한 호기심....그리고 새로운 경험...그리고 감사함!

 

 

 

 

 

                  바다님은 며칠 전 부터 부어 오른 목을 보호하느라 마스크를 착용하셨고~

                  진도화님의 오늘 의상은 유난히 화사하시다

 

 

 

 

                  시기리아 정상을 못 밟으시는 두 분을 위해 사진 촬영을 해 드렸다.

 

                  자덕행님은 무릎이 아프셔서... 의락성님은 발목이 아프셔서..

 

                  안타깝고,또  안타깝다...

 

                  행여 같이 할 수 있으리라 바라고 또 바랬는데..그래도

                  며칠 남지 않은 여행을 무사히 마칠려면 조심해야 한다는 데에 모두 동의했다. 

 

 

 

 

                  진도화님의 옆에 키 큰 청년...

 

                  일찌감치 님의 옆에 찰싹 붙어 보디 가드로 나섰다.

 

                  워낙 올라가는 길이 험하다 하니  입구에서 부터 스리랑카 청년들이

                  보디가드로 선택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진도화님 보디가드.. 얼마나 헌신적으로 님을 보호 하시던지!!!! 

 

 

 

 

                 저 단순해 보이는 바위가 무엇이길래...

 

                  이 바위산 꼭대기에 화려한 왕궁을 짓고 살았던 왕이 있었다.

 

                  이복동생이 왕위를 차지할까 두려워 아버지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왕자.

                  동생의 복수가 두려워 이 바위위에 왕궁을 짓고 살지만 그 권력은 오래 가지 못했다.

 

                  인간의 욕망은 도대체 어디 까지 일까?

                  그리고 그 욕망의 끝은.... 

 

 

 

 

 

                  바위 정상으로 올라가던 도중 내려다 보이는 곳에 부처님이 서 계시다.

 

                  끝까지 올라가는 데 계단이 1020 개!

                  세어보진 않았다.

                  난간을 잡고 조심스럽게 올라가야 한다.

 

 

 

 

                  한숨을 돌리고....

 

  

                  정상에서 내려 다 본 풍경.

 

 

 

  

                  진도화님의 사진  포즈의 포인트는 요즘 갑자기 불어난 뱃살 감추기!!!

 

  

                  가이드 Singh..

 

 

  

 

                  정상에 올라 뒤쪽으로 내려가면 그 왕궁의 터가 그대로 있다.  


 

 

                  카멜레온.

 

                  처음으로 난 이 동물을 보았다.

                  변신의 귀재라는..그러나 눈빛은 너무 맑고 순진했다.

 


 

 

 

                  내려 오는 길에 있던 뱀 바위...코브라를 닮아 있다. 

 

                  보디 가드 팁을 담합했는데..불행히도 마음씨 넉넉한 분이 그 담합을 깨고 덤을 얹어 주셨다.

                  그 소식을 전해 들은 다른 이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통에

                  우리는 또 다시 지갑을 열어야 했다...ㅎㅎㅎ

 

                  굳이 누구라고 밝히지는 않겠지만...


 

 

 

               알루비하라에서 

 

                  오늘은 담불라를 떠나 알루비하라를 거쳐 캔디까지 올라가는 일정이다...

 

                  이틀동안 머물렀던 차야 빌리지와도 작별..

 

                  캔디는 고도가 높아 습도도 낮고 기온도 서늘해서 인구밀도가 높다고 한다.

                  알루비하라에 오니 벌써 기후가 달라지고 있음이 느껴졌다. 

 

 

 

 

 

                  알루비하라에 있는 패엽경 사원 입구..

 

                  유럽의 성당 이미지가 살짝 보인다.

 

                  부처님 入滅후

                  오랜 세월동안 그 말씀은 입으로만 전해 오다가

                  2000 여년전, 이곳 알루비하라에서 부처님 말씀을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하게 된다.

 

                  불교史 최초의 경전 탄생이 된 것이다.


 

  

                 동굴 속  법당에 계신 부처님

 

  

 

                  스리랑카에 계신 부처님모습의 공통점이라면

                  결가부좌가 아닌 반가부좌로 앉아 계신다는 것!

 

 

 

 

 

                  바다님!

 

                  보시하는 장면을 꼭 찍으라고 하심!

 

                  우리가 부처님 말씀을 공부할 수 있는 것은 패엽경 사원에서 문자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당근! 보시를 해야한다면서..

                  근데 응무소주 이생기심 하라시는 부처님  가르침은  어디로..... 


 

 

 

                   산중턱에 부처님이 계시다.

 

                   케이블카를 놓아 관광지로 개발한다기에

                   자연이 훼손될 것 같아 안타까운 맘이 생겼다. 

 


 

 

                  잘 다듬어진   정원

 

 

 

                  조그마한 박물관이 있었는데 그곳에 보관되어 있던 패엽경.

 

                  패엽경이란.. 貝葉經

 

                  부처님 말씀을 나뭇잎에 새긴 경전을 말한다.

                  야자수 잎을 쪄서 말린 다음 그 잎에 철핀(처음에는 뾰족한 조개껍질을 사용했을거라 추정해 본다)으로

                  경전을 새긴 것이다.. 

 

 

 

 

                  스님 한 분이 어떻게 글을 새기는지 보여 주고 계시다..

 

 

 

 

 

 

                  그 방대한 팔만 대장경을 이렇게 한 자,한 자, 새겼으리라 생각하니

                  그 신심에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그리하여 佛法이 오늘 날까지 전해 오는 것이 아닌가!!!


 

 

 

 

                  진/글   부용 

 


 

              부용 님이 보내주신 10일 동안의 <남인도와 스리랑카 여행기>를 영광스럽게 돔에 올립니다.

              이선구 님이 찍으신 사진도 같이 올렸습니다. 

              여행은 이선구 님의 안내로 11월 3일 출발하여 11월 12일 돌아왔습니다.

 

 

 

 

                                                                                                                           참고 - 시기리아락 사진 - 구글 

 

                                                                                  Sigiriya rock, Sri Lanka by thashrif - Google

 

                               

 

 

 

 

              이 선구 님의 사진  

                                  

 

              시기리아락(Sigiriya Rock) 

 

                  밀림 중앙에 위치한 시기리아락(일명 Lion's Rock)은 부왕을 살해한 패륜 왕 카샤파 1세가

                  기원 전 475년에 바위 정상에  건축한 도시로 지금은 폐허가 된 왕궁, 왕궁 연회장, 저수지,

                  벽화, 등만이 2개의 사자 발톱과 유적으로 남아있다. 세계 8대 불가사의. 

 

 

 

 

 

 

 

 

 

 

 

 

 

 

 

 

 

                  저수지(수영장)에서 카샤파 왕비가 수영을 하고...

                  왕은 돌의자에 앉아 구경을 했다고 한다. 

 

 

 

 

 

 

 

 

 

 

 

 

 

                                                

                 저녁에 관람한 민속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