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인간은 머물 항구가 없고 시간은 머물 기슭이 없다

뉴도미닉 2011. 1. 3. 10:39

 

 

1978년 어느날 오후 작가 강정완이 파리에서 장거리 전화를 했다.

왕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었다. 지금도 잊지 못할 반가운 소식이었다.

 

 

 

인간은 머물 항구가 없고 시간은 머물 기슭이 없다

 

Grand prix S.S.S. du Prince Rainier III au Grand Prix International d'Art contemporain de Monte-Carlo(1978)

몬테카를로 국제현대미술대상전 모나코국왕 Rainier III세 대상 수상작

 

 

 

 

 

《 소장품 》

《 인간은 머물 항구가 없고 시간은 머물 기슭이 없다 

Point de pour I'homme, Point de rivage pour le temps(1978)  230 x 183cm   

작가 : 강정완( J. Kang )   

 

 

 

몬테카를로 국제현대미술대상전 왕상 수상 증서 

 

 

 

강정완 파리시대의 작품 

〈미술평론가 오광수의 글 중에서〉

 

                                                  특히 그의 초기 파리시대 작품들이 풍부한 시의 보고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현지의 비평가들이

                                                  지적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가령 비평가 레미"아주 시적인 감정이 넘치는 한 화가의 극히

                                                  환상적인 세계의 내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작품들의 마력의 덕분으로 동양적 영감의 명확하고도

                                                  변화무쌍한 세계 속으로 우리를 이끈다." 라고 쓰고 있으며, 비평가 브리나"자기의 영감 속에

                                                 극동문화의 근본적 터울을 간직할 줄 알고 있다. 즉 그가 느끼는 모든 것은 정신적 차원으로 지향

                                                 되고 있으며, 따라서 그의 창작적 비지용은 철저히 시적이다.라고 쓰고 있다. 로베르 바레

                                                 그를 가리켜 화가이자 시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런 지적들은 말할 나위도 없이 그의 작품들이

                                                 간직하고 있는 시적詩的 뉘앙스에 대한 공통된 감응에 다름아니기도 하다.